KMOUC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KMOUC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Council

정기간행물(일간/주간)

[주간단신] 주간단신 및 유가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2.11. 13:43

본문

E&P

- ExxonMobil이 4분기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2025년 총 자본지출 추정 가이던스로 270억~290억 달러를 재확인하였다. 2024년 연간 총 자본지출은 256억 달러, 상류부문 생산량은 일일 430만 배럴 (Permian 분지에서 일일 1.2백만 배럴)을 기록하였다. 12월에 갱신된 사업 계획에 따르면, 동 지출 규모는 중간값 기준 전년 대비 9%의 증가한 수준으로 주로 저탄소 프로젝트에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본 부문에 대한 자본 지출 규모는 평년과 비슷하고 상류부문 자본 지출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생산 목표는 일일 4.7백만 배럴 (Permian 분지에서 일일 1.5백만 배럴)로, 지난 4분기 4.6백만 배럴을 약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주 환원 관련하여 Exxon은 주당 배당을 0.99달러로 유지하였으며, 자사주 매입 계획은 이전 계획과 동일하게 2024년 190억 달러에서 2026년까지 매년 200억 달러로 늘릴 예정이다.

- Shell은 4분기 실적 발표에서 2024년 자본지출이 210억 달러로 가이던스 범위인 220억~250억 달러보다 낮을 것이라고 발표했하였다. 2025년 자본지출 규모도 2024년 가이던스 범위인 220억~250억 달러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주 배당의 경우 배당금을 주당 0.344달러에서 0.358달러로 4% 인상하고, 3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은 향후 3개월 동안 변동 없이 유지된다고 밝혔다. Shell의 총 주주수익률은 11%로 유럽 동종 업계와 비슷한 수준이다.

- Chevron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지난 12월에 발표한 2025년 자본지출 가이던스 150억 달러를 재확인하고 2026년 가이던스 140억~160억 달러를 제시했다. 2024년 연간 유기적 자본 지출은 159억 달러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25년 유기적 자본지출은 전년대비 5.6% 감소하고 2026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Permian 분지와 미국 GoM에서의 지출이 감소하는 것이 주목되는 부분이며 잉여 현금 흐름 창출을 위해 '적절한 성장과 자본 지출'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주 배분과 관련하여 셰브론은 분기별 배당을 4분기 주당 1.63달러에서 2025년 1분기 1.71달러로 인상하였다. 자사주 매입 관련 동사는 4분기에 가이던스 범위의 상단인 4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밝힌 바 있다. 1분기에는 4분기와 동일한 범위인 40억~47.5억 달러의 자사주 매입 가이던스를 제시하였다.

- Baker Hughes가 4분기 실적 발표에서 2025년 글로벌 상류부문 자본지출 규모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북미에서는 전년 대비 한 자릿수 중반의 지출 감소가 예상되며, 주요 요인으로 운영권자들의 지출 통제 정책을 꼽았습니다. 멕시코, 사우디, 북해에서의 사업들이 약세를 보이고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한 중동,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이러한 부분이 부분적으로 상쇄되면서 전체적으로는 지출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동사는 향후 몇 년간 개발 프로젝트가 꾸준히 진행됨에 따라 서브씨 트리와 FPSO에 대한 전망은 안정적일 것으로 보고 있으며, 중기적으로 250~300기의 서브씨 트리 발주 및 7~9건의 FPSO  프로젝트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프로젝트가 FID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서브씨 트리 발주 강세로 이어져 2025년에는 해저생산시스템 수주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생산시설

- PTTEP가 말레이시아 해역 심해 H 광구의 다음 개발 단계로 나아가며 SURF 및 SPS의 EPCI 계약 입찰을 개시하였다. Subsea 7, Allseas, McDermott, TechnipFMC가 SURF 패키지에, OneSubsea, TechnipFMC, Baker Hughes가 SPS 패키지에 입찰할 것으로 예상된다. 입찰서는 2월 중에 제출될 것으로 보이며, 연말 이전에 입찰 결과가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Subsea 7은 H 광구 프로젝트를 3억~5억 달러 규모의 SURF 수주 건으로 평가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 해역 Lang Lebah 가스전 개발 관련 FID가 연기될 위기에 처했다. 해당 광구 운영권자인 PTTEP는 지난주 EPC 입찰 결과가 예산을 10억 달러 이상 초과하여 프로젝트를 재설계 중에 있다고 밝혔다. 동 프로젝트는 2025년 중 FID를 목표로 했으나, EPC 패키지가 재입찰될 경우 12개월 정도 지연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5건의 기존 EPC 패키지 입찰의 선두 주자는 McDermott과 Sapura (중앙 처리 플랫폼), Brooke (유정 플랫폼 2기), Muhibbah (거주 시설), McDermott (파이프라인), 삼성물산 E&A (육상 가스 플랜트) 등 이다. Lang Lebah는 PTTEP의 역대 최대 디스커버리로 자원량은 가스 6~7조 입방피트이다.

 

해양시추

- Petronas가 3개년 사업 계획에서 2025~2027년 말레이시아에서 운영 잭업 시추선 기수를 9~11기로 제시하였다. 각 년도별로는 2025년에 10기 (작년 계획 12기), 2026년에 11기 (작년 계획 15기), 2027년에 9기로 확인된다. 이는 현재 계약 중인 잭업 시추선 11기와 지난 몇 년간 평균 11기와 약간 차이가 난다. 입찰 대상 잭업 시추선의 경우 2026년에는 현재 4기에서 6기로 증가하지만 2027년에는 4기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반잠수식 시추선과 드릴십의 경우 총 2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Chevron이 호주 해역 Gorgon 3단계 개발 관련 심해 시추선 입찰을 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동사는 2024년에 시장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드릴십을 선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시추 프로그램은 2026년 말에 개시하여 320일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 브루나이 해역 Kelidang 클러스터의 육상 인프라에 연결되는 해양 생산 시설과 파이프라인에 대한 FID가 연말까지 결정된 예정이다. 동 프로젝트에서는 현재 FEED 작업 관련 Fugro와저류층 특성화 계약을 체결하여 탐사 작업을 수행 중이다. FID가 예정대로 이루어지게 되면 극심해 시추선이 투입되어 2027년 중반부터 개발정 6기를 시추할 계획이다.

 

OSV

- EDT Offshore의 3,300dwt급 DP-2 PSV EDT Kennedy가 페르시아만 North Field의 Qatar Energy LNG 사업 관련 6개월 해저 탐사 계약을 Fugro와 체결했다고 발표하였다. 동 선박은 2014년에 건조되었으며 아랍에미리트 Hamruyah에서 준비 작업을 거친 후 2월에 작업을 개시할 예정이다. 동 선박은 지난 2024년 9월에 North Field Bravo 단지에서 용선 계약을 완료하여 QatarEnergy LNG 프로젝트에 참여한 이력이 있다.

- DeepOcean이 폴란드 해역 Baltyk 2 및 3 해상 풍력 개발 프로젝트 관련 신규 해저 탐사 계약을 수주하였으며 해당 탐사 작업은 2025년 초에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동 프로젝트 규모는 1.44GW이며 Equinor와 Polenergia의 합작 투자로 진행하고 지난 주 FID를 발표하였다. DeepOcean은 Edda Flora (08blt, LOA 95m, 50t 크레인)를 투입하여 외부 및 내부망 해저 설치 구역에 대한 지구물리 탐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국제유가

지난 주 국제유가는 WTI 기준 2%대 하락하였다. 주초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및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미국의 원유 수급 차질 전망이 힘을 얻고 유가가 상승세를 보였다. 주중반에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EIA가 발표하는 미국 주간 원유 재고 또한 시장 전망 대비 큰 폭으로 뛰어오르며 유가를 끌어내렸다. 주 후반들어서는 미국 정부의 대이란 재제 강화로 유가도 반등세를 보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언에 상승폭이 제한되었다.   

 

 

2025-01-31 2025-02-07 wow %
브랜트유 종가 75.67 74.66 -1.01 -1.33%
WTI 종가 72.53 71 -1.53 -2.11%

 

2025-01-24 2025-01-31 wow %
브랜트유 종가 78.5 75.67 -2.83 -3.61%
WTI 종가 74.66 72.53 -2.13 -2.85%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20년 04월 06일

    통합검색

    상세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