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UC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KMOUC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Council

정기간행물(일간/주간)

[주간단신] 주간단신 및 유가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2.18. 18:00

본문

E&P

- 트리니다드토바고 정부가 심해 탐사 광구 26건에 대한 경매를 개시하였으며, 입찰 마감일은 2025년 7월 2일이다. 입찰 결과는 3개월 후에 발표될 예정이다.

- BP가 20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연간 자본지출이 총 162억 달러로 160억 달러의 가이던스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2024년 4분기 배당은 주당 0.08달러를 유지했으며, 자사주매입 프로그램은 전분기와 동일하게 17.5억 달러로 계획된다. BP는 2월 26일에 2025년 가이던스를 설명하고 전략의 '근본적인 재설정'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BP의 총 주주 수익률은 13.0%로, 약 11%에 거래되는 유럽 동종 기업보다 월등히 높다.

- ConocoPhillips는 업데이트된 2025년에 설비투자 가이던스를 발표했다. 예상 자본지출 규모는 2024년 137억 달러에서 2025년 129억 달러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미국 모든 주 (알라스카 제외)에서 업무 효율 개선, Marathon 인수에 따른 시너지 효과, 완만한 디플레이션 (약 2억 달러) 등으로 인해 14억 달러가 감소한 효과이며, 다만 다른 해외 투자(Willow, 카타르, 캐나다, 알래스카)로 인해 이는 부분적으로 상쇄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지출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예상된다.

 

생산시설

- QatarEnergy가 카타르 해역 Maydan Mahzam 유전 확장 프로젝트 관련 두 건의 EPCI 입찰을 개시한다. 첫 번째 패키지에는 100km의 해저 파이프라인, 28km의 엄빌리컬, 20km의 전력 케이블이 포함되며 Subsea 7, Saipem, McDermott, COOEC, Allseas 등이 유력한 경쟁자로 거론되고 있다. 규모가 큰 두 번째이자 패키지는 여러 해양 시설(압축 및 공정 자켓 플랫폼, 거주 플랫폼, 라이저 플랫폼, 웰헤드 자켓)로 구성되며, Saipem, McDermott, COOEC, Larsen & Toubro, HD 현대가 유력한 경쟁업체로 꼽힌다. 현재 입찰 후보기업들이 기술 제안을 준비 중이며 연말 이전에 계약이 체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졌다. 계약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 Aker Solutions이 Dragados Offshore와 15억~25억 크로나 규모의 HVDC 계약을 체결했다. 작업 범위에는 독일 북해의 BalWin 1 해상 풍력 프로젝트 관련 2GW급 HVDC 해상 플랫폼 하부 구조물의 설계, 조달 및 건설이 포함된다. 건설 작업은 2026년 초에 개시되어 2028~2029년 인도될 예정이다. 이 계약에는 규모가 동일한(2GW) BalWin 2 HVDC 하부 구조물에 대한 옵션도 포함되어 있다.

- Cadeler가 폴란드 해역 BC-Wind 해상 풍력 프로젝트 풍력 터빈 30기의 운송 및 설치 캠페인 관련 Ocean Winds와 선박 reservation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발혔다. Cadeler는 2028년 완공 예정인 동 프로젝트에 자사의 O-class 선박 중 한 척을 투입할 예정이다. 계약 금액은 4,800~5,600만 유로로 터빈당 일반적인 작업일 3일을 가정할 때 all-in 기준 dayrate는 50만 유로 이상이다. 다만, 여기에는 기타 프로젝트 비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 계약으로 폴란드 수주잔고가 크게 증가되었으며, 효과적인 선대 투입 및 가동율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시추

- BP가 작년 11월 인도네시아 해역 CCUS 시추 8공 작업 관련 잭업 시추선의 RFI를 진행한 데 이어, 최근 작업 범위를 확정하고 입찰을 준비으로 알려졌다. 입찰 초청은 빠르면 2025년 3월 또는 4월로 예상된다. 동 캠페인에는 가스정 5공과 CO2 주입정 3공이 포함되며, 2026년 3분기에 작업이 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확정 작업 기간은 2년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1년 추가 옵션이 있다.

- TotalEnergies PNG이 진행 중인 파푸아뉴기니 해역 유정 1공 캠페인에 대한 극심해 부유식 시추선 입찰 관련, 긴 리드 타임과 제한된 가용 시추선으로 시추 작업이 2025년 말에서 2026년 1-2분기로 연기되었다 알려졌다. 해당 Papua 대륙붕 지역은 수심이  6,890피트(2,100m)에 달하며 작업 기간은 50일로 예상된다. 또한 해당 입찰에는 말레이시아 해역 수심 9,843피트(3,000m)의 두 번째 시추에 대한 추가 옵션도 포함되어 있다.

- Eni가 최대 10년의 장기 작업을 위해 잭업 시추선의 용선, 나용선 또는 매입에 나서겠다는 의향을 표명하였다. 해당 작업은 이탈리아 해역의 주요 CCS 프로젝트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는 2023년 9월에 주요 CCS 프로젝트의 두 번째 단계 개발을 위해 잭업 시추선 2기 대상으로 3년 확정 계약을 위한 입찰을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프로젝트 연기로 인해 같은 해 11월에 입찰이 취소되었었다. 해당 프로그램은 당초 2024년 11월과 2025년 2월에 각각 작업을 개시할 예정이었다.

- ADES가 Nkuku Ikon Petroleum Development Company와 나이지리아 해역 작업 관련 프리미엄 잭업 시추선 Admarine 501(13년blt/400ft)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하였다. 동 시추선은 Aramco와의 계약이 해지된 이후 2024년 4월부터 stack 상태에 있다. 동 계약에는 확정 2공에 옵션 2공이 포함되며 총 작업 기간(옵션 포함)은 약 180일로 2025년 2분기에 작업이 개시될 예정이다. 최근 ADES가 나이지리아에서 체결한 프리미엄 잭업 시추선Admarine 504(10blt/400ft) 계약과 마찬가지로, 이번 계약도 현지 업체인 Valiant Offshore와 나용선 형태로 진행하며, ADES는 용선료를 받고 시추선과 함께 전문 인력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계약 규모는 12백만 달러로 일부 비용(전문 인력 및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여 ADES에 지급되는 일일 나용선료는 6.7만 달러 수준이 된다. Valiant와 Nkuku간의 시추 계약은 21백만 달러 규모로 dayrate로 환산시 11.7만 달러 수준이다.

 

OSV

- Olympic이 2027년 여름 인도 조건으로 중국 선전의 China Merchants Heavy Industry 조선소에 2척(확정 2척 + 옵션 2척)의 CSV 신조 계약을 확정하며 선단을 확장 중이다. 동 선박은 재생 에너지 및 기존 석유 및 가스 시장 양쪽 모두에 투입될 수 있는 Kongsberg Maritime UT7623 SEV 디자인을 체택하였다. 선박 크기 및 가격 정보는 공개가 제한되었으나, 200t 또는 250t급의 해상 크레인이 장착될 것으로 보이며 가격은 9천만-1억 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중국에서 발주된 비슷한 사양(250t 해상 크레인)의 선박(Sea1 선박)이 척당 약 9,300~9,500만 달러에 발주된 바 있다. 이로서 지난 1월에 발주된 시탱커의 250t급 선박 2척을 포함해 CSV의 전체 수주량은 30척으로 늘어났으며, 대부분 2026년 말과 2027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국제유가

지난 주 국제유가는 브랜트유 기준 0.11% 상승하였다. 주초 이란과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제재가 공급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 유가를 끌어올렸다. 주 중반들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개시하기로 합의하고,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미국 원유 재고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하락 반전하였다. 주 후반에도 미국 상호 관세 발표가 4월까지 연기되고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이 계속되며 하락세를 이어가며 주간 마감하였다.

 

 

2025-02-07 2025-02-14 wow %
브랜트유 종가 74.66 74.74 0.08 0.11%
WTI 종가 71 70.74 -0.26 -0.37%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20년 04월 06일

    통합검색

    상세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