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단신] 주간단신 및 유가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3.25. 01:20본문
E&P
- ExxonMobil의 호주 자회사인 Esso가 호주 남동부 깁스랜드 대륙붕에 위치한 2억 2,000만 달러 규모의 가스 프로젝트인 Turrum 3단계 사업을 승인하였다. 동 프로젝트에는 수심 60미터의 유정 5공 시추 작업이 포함되며, Valaris 107 잭업시추선이 투입되어 진행된다. 유정 시추에는 300일이 소요될 예정이며, 기존 게획된 활동이 완료되는 2025년 3분기 이후 작업이 개시될 예정이다. 동 잭업 시추선은 2025년 4분기까지 Esso와 계약되어 있으며, 옵션 2건을 실행하면 2026년 4분기까지 계속 운행할 수 있다. ExxonMonil의 100% 자회사인 Esso Australia (운영권자, 지분 50%)와 Woodside(50%)가 파트너사이다.
- Petrobras가 Santos 암염하층 Aram 광구의 탐사 유정에서 탄화수소를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다. 금번 실험실 분석 데이터를 통해 잠재적 경제성을 평가하고 해당 지역의 다음 탐사 활동으로 이어나갈 수 있게 되었다. 동 광구의 파트너사는 Petrobras(운영권자, 80%)와 CNPC(20%)이다.
- Chevron이 1월부터 3월까지 공개 시장 거래를 통해 Hess 주식의 5%를 매입했다고 발표하였다. 동사는 2023년 10월 530억 달러 규모의 주식 맞교환 거래에 합의했지만, Hess의 가이아나 해역 Stabroek 광구 파트너사인 ExxonMobil과 CNOOC의 중재 신청으로 인해 1년 이상 거래가 지연되고 있다. 중재 이의에 대한 예비 심리가 5월에 예정되어 있으며, 동사는 이번 주식 매입은 “보류 중인 Hess 인수 완료에 대한 Chevron의 자신감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생산시설
- 아랍에미리트에 본사를 둔 NMDC Energy가 아랍에미리트 Adnoc의 Lower Zakum 해역 확장 프로젝트 관련 26억 달러 규모의 EPC 계약을 수주하였다. 작업 범위에는 7개의 신규 웰헤드 타워, 여러 해저 파이프라인 및 케이블, 라이저 플랫폼, 플레어 스택 타워 및 관련 생산중 유전 개조 작업 등이 포함된다. NMDC Energy, McDermott, COEEC이 1월에 동 패키지에 대한 입찰서를 제출한 바 있다.
- Larsen & Toubro가 Qatar Energy LNG로부터 40억~50억 달러 규모의 EPCI 계약 경쟁 입찰에서 다른 두 참자가인 Saipem & COOEC 컨소시엄, , McDermott & 현대중공업 컨소시엄보다 앞서나가고 있다. 동 입찰은 2023년 초에 개시되었지만 연말 무렵에 입찰서가 제출되는 등 상당히 지연되었다. 작업 범위는 가스전의 생산 프로파일을 유지하기 위한 두 기의 해양 가스 압축 시스템을 포함한다. 각 시스템에는 플레어 플랫폼, 연결 교량, 거주 구역 및 기타 관련 시설이 포함된다. 입찰은 두 개의 패키지로 나뉘어 진행되며, Larsen & Toubro는 두 패키지 모두에서 선두주자로 꼽히고 있다.
- BW Offshore는 BW Pioneer를 Murphy Oil에 1억 2,500만 달러에 매각한다고 발표하였다. 동사는 다음 주 내로 1억 달러를 수령하고 나머지 2500만 달러는 2분기 말까지 수령할 예정이다. 매각가는 업계 예상치인 1억 달러보다 25% 높은 수준이다. 양사는 다음 주 내에 5년 동안 정산 가능 O&M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2025년 EBITDA 가이던스에서 BW Offshore는 3월 18일 이후 BW Pioneer의 수익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
해양시추
- China National Petroleum Company의 자회사인 PT Great Wall Drilling Asia Pacific이 인도네시아 해역 Mahakam 삼각주 지역 시추 작업 관련 Pertamina Hulu Energi Mahakam의 잭업 시추선 Rig E 입찰에서 4년 계약을 수주하였다. PT Great Wall Drilling Asia Pacific의 CPOE-16이 동 캠페인에 투입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후 검사 및 고객 승인 이후 2025년 2분기에 작업을 개시할 예정이다.
- 지난 10월 말 발표된 PTTEP Malaysia의 부유식 시추선 2년 15공 시추 캠페인 관련, 지난 주 동사가 Sabah 및 Sarawak 해역에서의 작업 수요를 취소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작업 범위는 수정될 것으로 알려졌으며, PTTEP는 시장 조사를 통해 수정 입찰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 Jadestone Energy가 베트남 해역 Nam Du/U Minh 디스커버리에 대한 유전 개발 계획(FDP)을 Petrovietnam에 제출하였다. FDP에 따르면 천해 지역에서 2공에 대한 잭업 시추 캠페인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동 작업은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아직 초기 단계인 것으로 보여진다. 관련 승인이 완료되면 입찰 절차가 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지난 10월 말 Timor-Leste 해역 Kitan 유전 유정 3공 P&A 캠페인에 대한 Eni의 부유식 시추선 입찰 개시 지연 건 관련, 동사가 해당 작업 일정에 대해 언급을 일절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2025년 5월에서 3~4분기로 미뤄졌던 작업 개시 일정은 이제 무기한 연기되었으며, 업데이트된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다. 해당 105일 작업은 약 1,150피트 수심에서 수행되며, 캠페인의 일부에서는 MPD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동 운영권자는 추가 옵션 조건을 포함하여 캠페인 작업을 확대할 가능성도 고려 중에 있다.
OSV
- 브라질 해역 작업 관련 8척의 ROV 지원 선박에 대한 Petrobras의 입찰이 진행 중으로, 3월 28일까지 입찰이 마감될 예정이다. 마감일은 당초 2024년 10월에서 수 차례 연기된 바 있다.금번 입찰은 12건의 slot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회사는 최대 4척의 선박에 대해 입찰할 수 있다. 이동 일정은 slot당 입찰한 선박 척 수에 따라 변동되며, 최대 2척을 제안한 회사는 4년 이내에 선박을 이동시켜야 하고, 여기서 선박이 추가될 때마다 척당 180일씩 이동 기한이 연장된다 (4척 모두 같은 조선소에서 건조할 경우 최대 360일). 계약 기간은 slot 할당에 따라 상이하며 8년, 10년 또는 12년의 확정 기간이 부여된다.
- Petronas가 말레이시아 해역에서 MC 3D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으며, 2025년 2분기 1건, 2026년에 2건을 예정하고 있다. 한편, Pertamina는 7월 작업 개시로 미뤄진 인도네시아 해역 Kandawulo 3D 탐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Petronas Carigali는 Sarawak 해역 SK 328 광구에서 2D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국제유가
지난 주 국제유가는 브렌트유 기준 2%대 상승세를 보였다. 주초 트럼프 대통령이 예멘 후티 반군이 미군에 대한 공격을 지속하면 이란에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함에 따라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고 중국의 소매판매 지수가 개선되며 유가도 상승 출발하였다. 주중반에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부분적으로 합의를 이루었다는 소식에 하락세로 전환하였다. 다만 주 후반들어서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지상작전을 개시하자 중동 정세 악화 우려가 커지고 미국 정부가 이란산 원유에 대한 신규 제재를 발표하면서 유가도 다시 반등하며 상승폭을 키우며 주간 마감하였다.
일 | | 2025.03.14 | 2025.03.21 | wow | % |
브랜트유 | 종가 | 70.58 | 72.16 | 1.58 | 2.24% |
WTI | 종가 | 67.18 | 68.28 | 1.1 | 1.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