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단신] 주간단신 및 유가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4.22. 11:18본문
E&P
- Eni의 모잠비크 심해 FLNG 프로젝트가 정부 승인을 득하였다. 동 프로젝트의 예상 자본 지출 규모는 약 72억 달러로, 6공의 해저 유정 및 FLNG 건설과 해저 인프라 설치 작업에 투입된다. FID는 2025년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FLNG의 생산능력은 3.4Mtpa이며 2028년 2분기에 생산이 개시될 예정이다.
- Eni가 YBF와 Argentina LNG 프로젝트 1단계 관련 FLNG 2기 개발 건 참여를 검토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동 프로젝트에서는 아르헨티나의 Vaca Muerta 지역의 가스를 개발하게 되며, 3단계에 걸쳐 개발될 예정이다. 파트너인 YBF(50%)와 Shell(50%)은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2020년대 말까지 최대 30mtpa의 LNG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YBF는 Eni와의 계약으로 일정이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생산시설
- Ipex가 190억 달러 규모의 인도네시아 해역 Abadi 프로젝트의 육상 부문에 대한 FEED 작업을 개시하였다. 동 프로젝트에는 육상 시설 외에도 해저 유정 13공과 FPSO의 개발 및 해저 인프라 설치 작업 등이 포함된다. FID는 2027년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2030년대 초에 생산 개시를 예상하고 있으며, 최대 생산량은 9.5Mtpa이다. Saipem과 McDermott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Technip Energies와 JGC로 구성된 컨소시엄과 경쟁하고 있으며, 이번 분기 중에 FPSO FEED 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다. Worley, 그리고 Wood와 Synergy 컨소시엄은 180km의 파이프라인이 포함된 해저 FEED 계약을 놓고 경쟁 중이다.
- 상기 언급된 YPF(50%)와 Shell(50%)의 아르헨티나 Vaca Muerta 지역 Argentina LNG 프로젝트에서, 파트너사들은 8월 개시 예정인 FLNG에 대한 10개월 FEED 계약에 대한 입찰을 준비 중이다. 해당 FEED 스터디는 Argentina LNG 개발의 3단계 중 1단계를 대상으로 한다. 1단계에는 각각 5mtpa 용량의 FLNG 선박 2기가 투입된다. 2단계에서는 FLNG 2기를 대체하기 위한 10mtpa 규모의 육상 플랜트가 건설되며, 3단계에서는 육상 시설의 추가 10mtpa 확장 작업이 포함된다.
해양시추
- Wintershall Noordzee가 네덜란드 해역 유정 1공에 대한 P&A 캠페인을 지원하기 위한 잭업 시추선을 수배 중이다. 동사는 25년 3분기에서 26년 2분기 사이에 착공 예정 유정을 대상으로 RFI를 발행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곧 공식 입찰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Swift Drilling의 Swift 10이 동 건에 대한 유력 후보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해당 시추선은 현재 네덜란드 지역에서 2025년 6월까지 같은 운영권자의 P&A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여기에는 6개월 연장 옵션이 포함된다.
- Fieldwood Energy이 멕시코 해역에서 120일간의 천해 시추 작업을 수행할 잭업 시추선을 수배 중이다. 동 운영권자는 26년 2분기 작업 개시 예정인 작업 관련 RFI를 발행하였다. 현재 Fieldwood는 2026년 3월까지 Borr Drilling의 Hild를 용선 중에 있으며 여기에는 2026년 3분기까지 계약 연장 옵션이 포함된다. 해당 연장 옵션 기간이 신규 캠페인 일정과 이어질 경우 Hild도 잠재적인 후보가 될 수 있다. 다만 해당 지역에 약 30기에 이르는 잭업 시추선들이 2분기부터 가동 가능한 상황이어서, 여러 시추선이 후보 선상에 오를 수 있다.
OSV
- Eidesvik Offshore와 Subsea7의 합작사인 Eidesvik Seven Chartering AS가 2013년에 건조된 해저 건설선인 Seven Viking 관련 추가 작업을 확보하였다고 발표하였다. Subsea7가 2026년과 2027년에 해당하는 동 선박에 대한 계약 옵션을 행사하여 확정 수주잔량 1년을 추가하였다. 여기에 추가로 2028년에 해당되는 새로운 옵션도 합의되었다. 2027년과 2028년의 용선료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재 시장 상황'을 기반으로 산정하게 된다.
- Sea1 Offshore는 CSV Sea1 Spearfish(250t 크레인, 2014년 건조)를 제3자에게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동사는 이번 매각으로 약 4천만 달러의 자본 이익을 예상하고 있다. 동 선박의 장부 가치는 약 7000만 달러이고, 총 매각 가격은 1억1000만 달러로 업계에서 예상하는 순자산가치(NAV)인 9500만 달러와 내재 가치인 7600만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3,900만 달러의 기존 부채는 매매 거래 직후 상환 예정이다.
국제유가
지난 주 국제유가는 5% 내외의 큰 상승세를 보였다. 주초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대상에서 전자제품을 제외시키자 시장의 경계감이 누그러지며 유가도 상승하였으나 다음날 OPEC과 EIA가 무역 마찰의 영향으로 올해 세계 원유 수요 증가량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하락 반전하였다. 그러나 주 중반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산 원유를 구매하는 중국 정유사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며 원유 공급 우려가 부각되며 유가를 끌어올렸다. 이어 주 후반에는 미국과 세계 각국의 관세 협상이 진전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시장에 훈풍을 불어넣자 유가도 급등하며 주간 마감하였다.
일 | 2025.04.11 | 2025.04.17 | wow | % | |
브랜트유 | 종가 | 64.76 | 67.96 | 3.2 | 4.94% |
WTI | 종가 | 61.5 | 64.68 | 3.18 | 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