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UC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KMOUC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Council

정기간행물(일간/주간)

[아 세 안] ASEAN, 역내 탄소시장 개발 위한 공동 프레임워크·로드맵 확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4.22. 16:57

본문

동남아국가연합(이하 ASEAN)은 ASEAN 공동 탄소 프레임워크(이하 ACCF)를 통해 역내 탄소시장 개발을 위한 중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Ecobiz.asia가 보도했다.

이 이니셔티브에는 거버넌스 구조의 최종 확정, 방법론 논의, 실행 로드맵 수립이 포함된다.

이 조치는 투명하고 효율적이며 잘 규제된 역내 탄소시장을 구축해 녹색 투자를 유치하고 역내 탈탄소화 노력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말레이시아 천연자원 및 환경지속가능부 장관 Nik Nazmi bin Nik Ahmad는 ACCF가 ASEAN 탄소시장 메커니즘 통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ACCF는 ASEAN 탄소시장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핵심 촉매 역할을 한다. 이는 방법론의 상호인정, 협력 증진, 역량 구축을 통해 ASEAN에서 투명하고 효율적이며 경쟁력 있는 탄소시장을 보장할 것이다.”라고 그는 2025년 4월 2일(수) 보도자료에서 밝혔다.

Nik Nazmi 장관은 앞서 2025년 3월 20일 말레이시아 Kuala Lumpur에서 열린 ACCF 워크숍에서 기조연설을 했다. 이 행사에는 정책 입안자, 업계 리더, 전문가들이 모여 역내 탄소거래제도의 조화로운 가속화에 대해 논의했다.

ACCF 워크숍은 ASEAN-UK GTF (Green Transition Fund), MCMA (Malaysia Carbon Market Association), Equatorise Advisory가 주최했다.

이 이니셔티브는 ASEAN-BAC (ASEAN Business Advisory Council), TCMC (Thailand Carbon Markets Club), IDCTA (Indonesia Carbon Trade Association), AACM (ASEAN Alliance on Carbon Market), SSFA (Singapore Sustainable Finance Association)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워크숍에서 Nik Nazmi 장관은 파리협정 6조에 따라 ASEAN의 탈탄소화 이니셔티브와 연계된 국가 기후변화 법안과 국가 탄소시장 정책 초안 마련에 대한 말레이시아의 노력을 강조했다.

그는 말레이시아의 이니셔티브가 자본 동원과 역내 탈탄소화 기회 지원을 통해 ASEAN 프레임워크를 보완한다고 밝혔다. 또한, 워크숍에서 개발된 로드맵이 ASEAN 전역의 참여 확대, 정책 정렬, 자발적 및 의무적 탄소시장 모두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영국 정부는 동남아시아 지역 협력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했다. 주ASEAN 영국대사 Sarah Tiffin은 영국이 ASEAN-UK Green Transition Fund를 통해 ACCF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이니셔티브를 통해 우리는 ASEAN 국가들이 역내 탄소시장 확대를 촉진할 수 있는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Tiffin 대사는 말했다.

ASEAN 경제공동체 부사무총장 Satvinder Singh는 ASEAN의 탄소가격제도 진전에 대해 강조했다.

Singh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은 이미 탄소세와 자발적 탄소크레딧 제도를 도입해 더욱 광범위한 역내 프레임워크 구축의 길을 닦은 것으로 보인다.

워크숍 논의에서는 탄소 공급-수요 역학, 시장 인프라, 규제 정렬, 시범사업 등 주요 측면이 다뤄졌다.

MCMA 회장 Dr. Renard Siew는 ACCF의 다섯 가지 핵심 원칙, 즉 국가별 방법론 상호인정과 국제 탄소시장 기준 준수를 제시했다.

또한 Equatorise Advisory의 CEO Steven Marcelino는 ACCF의 성공을 위해 역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 및 기사: Petromindo.com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20년 04월 06일

    통합검색

    상세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