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UC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KMOUC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Council

정기간행물(일간/주간)

[주간단신] 주간단신 및 유가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7.01. 11:33

본문

E&P

- 올해 초 모리타니와 세네갈 해상에서 첫 LNG 생산을 달성한 Golar LNG의 FLNG Gimi가 BP와 체결한 Greater Tortue Ahmeyim (GTA) 천연가스전에서의 20년 임대 및 운영 계약의 상업 가동을 개시하였다. 동 프로젝트는 BP의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프로젝트로 평가받고 있다. BP는 56%의 지분을 보유한 광구운영사이며, Kosmos Energy (27%), Petrosen (10%), Société Mauritanienne Des Hydrocarbures (7%)가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해당 FLNG는 약 40km 떨어진 해상에 위치한 FPSO GTA로부터 원료가스를 공급받은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LNG 생산을 시작하였다. COD(상업 생산 개시)는 프로젝트 파트너들에게 중요한 이정표로, LNG 생산량은 연간 약 240만 톤에 해당하는데, 이는 설비의 생산 가능 용량 270만 톤의 약 90%에 달한다.

- Vår Energi가 90%의 지분을 보유한 Balder 유전에서 Jotun FPSO를 통해 생산을 성공적으로 시작했다고 발표하였다. 현 생산량은 일일 3만 배럴 수준으로 약 3~4개월 이내에 Balder FPU(Fluid Gas Unit)와 Ringhorne 설비를 약 8만 배럴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14공의 생산정은 모두 완공되었으며, 증산 기간 동안 가동을 개시하여 최대 생산량에 도달할 예정이다. 올해 말 착공 예정인 Balder 5단계 프로젝트까지 포함하면, 동 프로젝트의 전체 투자 회수 기간은 약 2년이다.

- Eni는 저탄소 사업부인 Plenitude 지분 매각 관련 미국 대체 투자 운용사 Ares Management Corp와 지난 5월 부터 독점 협상을 진행한 결과 Plenitude 지분 20%를 매각하기로 결정하였다. 해당 거래 규모는 지분 가치와 기업가치(EV)를 각각 100억~120억 유로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Plenitude의 2025년 EBITDA 전망치인 11억 유로와 대비된다.

 

생산시설

- Mubadala Energy가 인도네시아 해역 South Andaman 광구 Tangkulo 개발 관련 서브씨 패키지 2건에 대한 FEED 입찰을 개시하였다. 패키지 1에는 통합 SURF-SPS가 포함되며, 유력 입찰자는 OneSubsea, TechnipFMC, 그리고 McDermott와 Baker Hughes로 알려졌다. 패키지 2는 가스 이송 파이프라인 건으로, Saipem, McDermott, 그리고 Allseas가 이끄는 그룹이 최종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Mubadala는 패스트 트랙 개발을 추진 중으로, 기존 목표 보다 1년 빠른 2028년 최초 시험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서브씨 패키지 입찰에는 이미 여러 업체에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 프로젝트의 FPSO와 관련하여서도 여러 업체들이 입찰서를 제출했으며, Mubadala는 몇 주 안에 최소 두 개 그룹과 최종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 프로젝트의 파트너사는 Mubadala(운영사, 지분 80%)와 Harbour Energy(20%)이다.

- CNOOC가 남중국해 해역 Kaiping 개발에서 최대 30기의 서브씨 트리의 공급 건에 대해 사전 자격 심사를 통과한 4곳의 공급사와 협상을 개시하였다. 작업 범위는 해외 및 중국 업체로 나뉘어 있는 것으로 추청된다. OneSubsea와 Baker Hughes가 서브씨 트리 20기를 놓고 경쟁할 예정이며, 중국 기업인 COOEC 또는 Cnertech이 나머지 10기의 트리를 공급할 예정이다. 최초 시험 생산은 2029년 10월로 예정되어 있다.

- Baker Hughes와 McDermott가 브루나이 해역 Kelidang 가스 프로젝트 관련 통합 SURF-SPS 공급에 대한 제한적 진행 통지를 받았다. OneSubsea도 또한 같은 통합 서브씨 패키지 입찰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업 범위에는 유정 6공에 대한 SPS과 130km의 파이프라인이 포함된다. Subsea 7과 TechnipFMC는 Kelidang 프로젝트를 3~5억 달러 규모의 유망 프로젝트로 분류하고 있다. Petronas가 동 프로젝트의 운영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올해 말 FID 심사를 예정하고 있다. 동 프로젝트의 FID 심사는 2019년 첫 시도 이후 최근 수년간 계속 추진되어 온 바 있다.

 

해양시추

- Eni가 진행 중인 인도네시아 해역 다중정 시추 작업 관련 심해 시추선 확보를 재 검토 중으로 SKK MIGAS의 승인을 기다리는 중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해당 입찰 초청은 8월경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참고로, Eni는 이전에 2,000~2,200m 수심 확정 8공 및 옵션 8공에 대한 시추 작업에 대한 시장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당시 작업 기간은 공당 100일을 가정하였었다. 다만 당초 2026년 1분기로 예상했던 작업 개시는 2026년 후반으로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

- Petronas가 Posco 및 AFED TEXCAL Energy와 Layang-Layang 및 Langkasuka 대륙붕에 대한 기술 평가 계약(TEA)을 체결했다. 금번 발주 건은 미탐사 지역 두 곳을 개발하기 위한 초기 작업으로, Langkasuka의 첫 탐사정 시추는 2026년 11월 이전으로 예상된다. TEA는 최근 진행한 탄성파 탐사 작업에 따른 것으로, 시추 작업이 임박했음을 시사한다. 현재 말레이시아에 위치한 8기의 잭업 시추선 중 2026년 작업이 확보된 시추선은 단 2기이다.

- PTTEP가 말레이시아 해역에서의 시추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 warm stack 상태의 잭업 시추선에 대해 LOA를 발행하였다. 해당 시추선과 시추공 수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해당 시추선은 말레이시아 11개 광구에 걸쳐 동사의 광범위한 2025-26년 프로그램의 일부를 담당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는 2025년 예정된 SK438의 1공과 2026년 예정된 SK314A의 탐사정 2공이 포함된다. 업계에서는 해당 시추선을 Velesto의 Naga 5를 잠재적인 후보로 보고 있다. 참고로 PTTEP는 Sarawak 해역에서 2026~28년 캠페인에 대한 잭업 시추선 수요 건도 검토 중이다.

- Eni가 인도네시아 해역 단일 유정 탐사 캠페인에 투입하기 위해 수배 중인 듀얼 작업 DP3 부유식 시추선 관련 입찰 마감일이 6월 20일에서 6월 25일로 다시 연장되었다. 동 건은 1월 PQ 이후 입찰 마감일이 여러 차례 연기되어 왔다. 아직 공식적인 연장 사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근 동사가 현재 18%인 국산 자재(local content) 요건 완화를 요청 중이라고 알려졌다. 참고로, 해당 60일 심해 시추 캠페인은 KKS Ganal 광구에서 계획되어 있으며, 당초 2025년 말 이전에 시작될 예정이었다. Seadrill, Noble, Saipem이 입찰에 참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OSV

- Shearwater GeoServices가 Equinor로부터 노르웨이해 Tyrihans 유전 4D 견인 스트리머 탐사 계약을 수주했다고 발표했다. 동 건은 최근 2년 연장된 Equinor과의 2021년 기본 계약 연장에 따른 첫 번째 프로젝트이다. 한 달 동안 진행되는 본 탐사 건은 8월 초 Amazon Conqueror를 투입하여 진행될 예정이다. 금번 수주는 2024년 진행한 Mariner와 Heidrun 탐사를 포함하여 Shearwater가 Equinor를 위해 수행한 여러 건의 4D 탐사 캠페인 실적에 따른 것이다.

- Prosafe의 Safe Notos가 Petrobras의 브라질 해역 4년 UMS 입찰에서 낙찰자로 선정되며, 공식 계약 체결을 발표하였다. 금번 계약으로 약 2억 400만 달러가 수주 잔고에 추가되었으며, 작업 기간은 확정 4년으로 2026년 9월에 작업이 개시될 예정이다. 계약은 계획대로 진행 중으로 작업 선박은 될 예정이며, 해당 시설은 지체 없이 투입될 예정이다.


국제유가

지난 주 국제유가는 12%대의 큰 하락세를 보였다. 주초 이란이 미국의 공격에 대응해 카타르 미군 기지를 공격했으나 이를 미국과 카타르에 사전 통보하였고 다음날 트럼프 대통령이 휴전 합의 소식을 전하면서 지정학적 위험이 극적으로 완화되며 유가도 이틀만에 10% 이상 하락하는 급락세를 보였다. 주 중반에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고 미국 원유 재고도 하락하며 소폭 상승 전환하였다. 주 후반에도 달러 약세와 이란의 농축 우라늄이 온전하다는 소식,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제재 완화 검토를 철회하며 유가도 상승하였으나 그 폭은 제한적이었다. 

 

 

2025.06.20 2025.06.27 wow %
브랜트유 종가 77.32 67.31 -10.01 -12.95%
WTI 종가 74.05 65.07 -8.98 -12.13%

​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20년 04월 06일

    통합검색

    상세검색